아내들의 학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내들의 학교》는 몰리에르의 희곡으로, 부유한 중년 남성 아르놀프가 순진한 젊은 여성 아녜스를 아내로 삼기 위해 세상과 격리하여 교육하는 과정을 그린다. 아르놀프는 아내가 무지하고 순종적이기를 바라지만, 아녜스는 젊은 오라스와 사랑에 빠진다. 결국 아녜스는 자신의 생부의 등장으로 오라스와 결혼하게 되면서 아르놀프의 계획은 실패한다. 이 작품은 17세기 프랑스 사회의 결혼관과 여성 교육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으며, 개인의 자유와 인간 본성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1662년 초연 이후 논쟁을 불러일으켰으며, 한국에서도 여러 차례 번역, 공연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몰리에르의 희곡 - 스카팽의 간계
몰리에르의 희극 스카팽의 간계는 아버지 부재중인 젊은 연인들의 사랑과 하인 스카팽의 활약을 그린 3막 산문 희극으로, 《포르미오》에서 영감을 받아 코메디아 델라르테와 타바랭 스타일의 익살이 더해진 작품이다. - 몰리에르의 희곡 - 상상병 환자
《상상병 환자》는 몰리에르가 1673년에 발표한 3막 희극으로, 건강염려증 환자 아르강을 통해 돈에 대한 욕망, 진정한 사랑, 가족애를 풍자적으로 그린 작품이며, 몰리에르 자신의 죽음과 관련된 비극적인 일화로도 알려져 있다. - 풍자 희곡 - 스카팽의 간계
몰리에르의 희극 스카팽의 간계는 아버지 부재중인 젊은 연인들의 사랑과 하인 스카팽의 활약을 그린 3막 산문 희극으로, 《포르미오》에서 영감을 받아 코메디아 델라르테와 타바랭 스타일의 익살이 더해진 작품이다. - 풍자 희곡 - 상상병 환자
《상상병 환자》는 몰리에르가 1673년에 발표한 3막 희극으로, 건강염려증 환자 아르강을 통해 돈에 대한 욕망, 진정한 사랑, 가족애를 풍자적으로 그린 작품이며, 몰리에르 자신의 죽음과 관련된 비극적인 일화로도 알려져 있다.
아내들의 학교 | |
---|---|
기본 정보 | |
원제 | L'École des femmes |
장르 | 희극 |
작가 | 몰리에르 |
초연 | 1662년 12월 26일 |
장소 | 팔레 루아얄 |
언어 | 프랑스어 |
등장인물 | |
아르놀프 | 40대 중반의 부유한 시민 |
아녜스 | 아르놀프의 피보호 소녀 |
오라스 | 아르놀프의 친구인 오롱트의 아들 |
알랭 | 농부, 아르놀프의 하인 |
조르제트 | 하녀 |
크리잘드 | 오라스의 삼촌이자 아르놀프의 친구 |
앙리크 | 오라스의 친구 |
오롱트 | 오라스의 아버지이자 아르놀프의 친구 |
공증인 | 계약을 담당하는 사람 |
줄거리 | |
배경 | 아르놀프는 순진하고 무지한 젊은 여성을 아내로 맞이하여 결혼 생활에서 속는 것을 피하려고 한다. 그는 아녜스를 시골에서 고립시켜 순수하게 키우고, 그녀가 세상의 유혹에 저항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
사건 전개 | 아르놀프의 계획은 오라스가 등장하면서 틀어지기 시작한다. 오라스는 아르놀프의 계획을 모른 채 아녜스에게 반하고, 아르놀프에게 자신의 사랑을 고백하며 조언을 구한다. |
갈등 | 아르놀프는 오라스의 사랑을 막으려 하지만, 아녜스는 점점 오라스에게 마음을 열고 아르놀프의 권위에 저항하기 시작한다. |
결말 | 우여곡절 끝에 아녜스와 오라스는 결혼하게 되고, 아르놀프의 계획은 실패로 돌아간다. |
주제 | |
여성 교육 | 이 작품은 여성 교육의 중요성과 사회적 제약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다. |
결혼 | 결혼의 본질과 사랑의 중요성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
질투 | 질투와 소유욕의 위험성을 보여준다. |
사회 비판 | 당시 사회의 허위의식과 위선을 풍자한다. |
기타 | |
영향 | 《아내들의 학교》는 몰리에르의 대표작 중 하나로, 이후 많은 작품에 영향을 미쳤다. |
2. 등장인물
- 아르놀프(Arnolphe): 또는 드 라 수슈(de la Souche). 부유한 중년 남성으로, 아녜스를 아내로 삼기 위해 교육시킨다.[1]
- 아녜스(Agnès): 아르놀프가 어릴 때부터 키운 순진한 젊은 여성.[1]
- 오라스(Horace): 아녜스의 연인.[1]
- 알랭(Alain): 아르놀프의 하인.[1]
- 조르제트(Georgette): 아르놀프의 하녀.[1]
- 크리잘드(Chrysalde): 아르놀프의 친구.[1]
- 앙리크(Enrique): 크리잘드의 처남이자 아녜스의 생부.[1]
- 오롱트(Oronte): 오라스의 아버지이자 아르놀프의 친구.[1]
- 공증인[1]
3. 줄거리
아르놀프는 젊고 순진한 아녜스를 완벽한 아내로 만들기 위해 4살 때부터 세상과 격리하여 교육시킨다. 그는 아내가 무지하고 순종적이어야 남편에게 충실할 것이라고 믿는다.[8] 아르놀프는 아녜스가 17세가 될 때까지 수녀원에서 생활하도록 지원하다가, 라 수슈 씨라는 이름으로 자신의 거처 중 한 곳으로 옮긴다. 아르놀프의 의도는 아녜스를 너무 무지하게 키워 그에게 불충실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었다.[8]
그러나 아르놀프의 계획과 달리, 아녜스는 젊고 매력적인 오라스와 사랑에 빠진다. 오라스는 아르놀프가 아녜스를 감금하고 있다는 사실을 모른 채, 아르놀프에게 자신의 연애 상담을 한다. 아르놀프는 아녜스와 오라스의 관계를 방해하려고 하지만, 아녜스의 순수한 사랑과 오라스의 열정은 그의 모든 노력을 무너뜨린다.
극이 진행됨에 따라 아르놀프는 점점 더 좌절한다. 아녜스는 아르놀프의 불쾌감에도 불구하고 오라스와 계속 만나다가, 마침내 오해로 인해 아르놀프는 아녜스가 자신과 결혼하기로 동의했다고 믿게 되고, 아녜스는 아르놀프가 자신이 오라스와 결혼할 것을 허락했다고 믿게 된다. 그들은 실제 상황을 깨닫고 아르놀프는 아녜스가 오라스를 만나는 것을 금한다.
마지막에 아녜스의 생부인 앙리크가 등장하고, 오라스와 아녜스가 이미 약혼한 사이였다는 사실이 밝혀진다. 결국 아르놀프의 계획은 실패하고, 아녜스는 자유롭게 오라스와 사랑을 이루게 된다.
4. 작품 분석
몰리에르는 《아내들의 학교》를 통해 17세기 프랑스 사회의 결혼관과 여성 교육에 대한 통념을 비판한다. 아르놀프의 왜곡된 교육 방식은 개인의 자유와 본성을 억압하는 사회적 억압을 상징한다.[2] 아녜스의 순수함과 자연스러운 사랑은 인위적인 교육과 사회적 제약에 굴복하지 않는 인간 본성의 힘을 보여준다. 몰리에르는 이 작품에서 여성의 자유 의지와 교육받을 권리를 옹호하며, 진정한 사랑은 억압과 통제가 아닌 자유로운 선택에서 비롯된다는 메시지를 전달한다.[10][11]
아르놀프는 아녜스를 정숙하고 무지한 상태로 양육했지만, 아녜스는 자신의 본성을 발견하고 사랑을 택한다. 아르놀프의 후천적인 교육법은 사랑의 감정을 통해 진실을 자각하게 만드는 자연의 섭리를 간과한 것이다. 즉, 아르놀프의 '학교'는 개인의 자발성과 이성, 진실이라는 감정의 '학교' 앞에서 무력했다.
당시 여성들은 연애나 결혼에 관한 자유 의사가 주어지지 않았고, 아버지의 강요에 따르거나 수도원에 가는 것 외에는 선택지가 없었다. 몰리에르는 이러한 사회 문제에 대해 여성 교육과 자유주의를 옹호하는 입장을 취했다.[10][11]
몰리에르는 이 작품에서 "오늘날의 사람들이 자신을 알아보지 못한다면 아무것도 이룬 것이 아닙니다."라고 하며, 등장인물들을 현실에 가깝게 묘사하고자 했다. 특히 아녜스는 말수가 적지만, 그녀의 순수함에 대한 의문은 독자와 관객들의 흥미를 자극한다.[2]
《아내들의 학교》는 당시 사회적으로 중요했던 딸의 교육과 결혼이라는 문제를 다루었다. 몰리에르는 여성 교육과 자유주의를 옹호하며 이 문제를 제기했다.[10][11]
5. 논쟁과 영향
《아내들의 학교》는 1662년 초연 이후 폭발적인 성공을 거두었지만, 동시에 격렬한 논쟁에 휩싸였다. 몰리에르를 비판하는 사람들은 그를 '경건하지 않은 자', '무신앙가', '풍습의 교란자'로 여기며 그의 도덕성을 공격했다.[2] 이들은 작품이 부도덕하고 기존 사회 질서를 위협한다고 주장했다.
몰리에르는 이러한 비판에 맞서 《아내들의 학교 비판》(1663)과 《베르사유 즉흥극》(1663)을 발표하여 자신의 작품을 옹호했다. 그는 인간의 자발성과 자유를 신뢰하며, 모든 금욕주의적 논리에 저항했다. 특히, 등장인물 아녜스를 통해 개인의 자유와 인간의 존엄성을 훼손하는 어떤 이념도 정당화될 수 없음을 보여주고자 했다.
아녜스는 아르놀프에 의해 정숙하고 무지한 상태로 양육되었지만, 자신의 본성을 발견하고 사랑을 택한다. 아르놀프의 후천적인 교육은 사랑을 통해 진실을 깨닫게 하는 자연의 섭리 앞에서는 무력했다.
이러한 논쟁은 "희극 전쟁"이라고 불리며, 프랑스 연극사에 중요한 사건으로 기록되었다. 몰리에르의 작품은 여성의 교육과 결혼이라는 당시 사회적 문제를 다루면서 여성의 권리와 자유에 대한 논의를 촉발시켰다.[10][11]
6. 한국어 번역 및 수용
《아내들의 학교》는 한국에서 여러 차례 번역, 출판되었다. 1886년 요미우리 신문에 《남북매지태(南北梅枝態)》라는 제목으로 연재된 것이 최초의 번역으로 추정된다. 번역자는 "호동생(湖東生)"이라는 인물이지만, 그가 누구인지는 아직 자세히 알려져 있지 않다. 이후 다양한 번역본이 출간되었으며, 연극으로도 공연되어 한국 관객들에게 소개되었다. 지식을만드는지식 출판사에서 이상우 번역으로 2009년에 출간된 번역본은 CC-BY-SA 3.0 라이선스로 배포되어 위키백과에 활용되었다.[1]
분류:한국어 번역
분류:1886년 책
분류:2009년 책
분류:몰리에르
7. 20세기 이후 공연
- 1947년 루이 주베 극단은 첫 번째 에든버러 국제 페스티벌에서 이 작품을 공연했다.[3]
- 1948년 에든버러 게이트웨이 극장에서 로버트 켐프가 스코틀랜드어로 자유롭게 번역한 ''Let Wives Tak Tent''가 초연되었다.
- 1951년 3월 18일부터 4월 3일까지 브로드웨이 ANTA 플레이하우스에서 루이 주베 주연으로 프랑스어 공연이 있었다.[3]
- 1971년 2월 16일부터 5월 29일까지 브로드웨이 라이시엄 극장에서 리처드 윌버의 번역본으로 공연되었다. 스티븐 포터가 감독을 맡았고, 브라이언 베드퍼드가 아르놀프, 조앤 반 아크가 아녜스, 데이비드 듀크스가 오라스 역을 맡았다.[4]
- 1983년 잉마르 베리만 감독의 스웨덴 TV 드라마 ''Hustruskolan''이 제작되었다. 알란 에드월이 아르놀프, 레나 니만이 아녜스, 스텔란 스카스가르드가 오라스 역을 맡았다.[5]
- 1984년 죄르지 페헤르 감독의 헝가리 TV 영화 ''A nök iskolája''가 이 작품을 바탕으로 제작되었다.[6]
8. 오디오 녹음
- 1965년 다니엘 베르네(Daniel Bernet)가 베르트랑 제롬(Bertrand Jérome) 감독, 미셸 푸이그(Michel Puig) 작곡, 프랑수아 페리에(François Périer) 주연(아놀프 역)으로 오디오 드라마를 제작하여 소노레스 보르다스(Sonores Bordas) 레이블로 발매하였다.[7]
- 1971년 케드먼 레코드(Caedmon Records)는 뉴욕시 라이시엄 극장에서 리처드 윌버 번역본을 사용하여 스티븐 포터(Stephen Porter) 감독이 연출한 공연을 LP(TRS 344)로 녹음하여 발매하였다. 출연진은 브라이언 베드퍼드(Brian Bedford, 아놀프 역), 조앤 반 아크(Joan Van Ark, 아녜스 역), 데이비드 듀크스(David Dukes, 오라스 역) 등이었다. 이 녹음은 현재까지 CD로 재발매되지 않았다.
- 2009년 L.A. 씨어터 웍스(L.A. Theatre Works)는 리처드 윌버 번역본을 사용하여 윌리엄 브라운(William Brown, 아놀프 역)과 주디 그리어(Judy Greer, 아녜스 역) 주연의 공연을 녹음하였다.
참조
[1]
웹사이트
Molière | Biography & Facts | Britannica
https://www.britanni[...]
[2]
서적
Une autre histoire de la littérature française
NiL editions
[3]
웹사이트
The School for Wives – Broadway Play – Original | IBDB
http://www.ibdb.com/[...]
[4]
웹사이트
The School for Wives – Broadway Play – 1971 Revival | IBDB
http://www.ibdb.com/[...]
[5]
웹사이트
Hustruskolan (TV Movie 1983) - IMDb
https://www.imdb.com[...]
[6]
웹사이트
A nök iskolája (TV Movie 1984) - IMDb
https://www.imdb.com[...]
[7]
웹사이트
Explore the British Library Search - L'ecole des femmes
http://explore.bl.uk[...]
[8]
서적
白水社
[9]
서적
白水社
[10]
논문
「女房学校論争」をめぐって(その1) : 『女房学校批判』について
成城大学
1994-03
[11]
서적
女房学校 他二編
岩波文庫
[12]
서적
筑摩書房
[13]
서적
白水社
[14]
서적
白水社
[15]
서적
筑摩書房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